아무거나 부탁해

PM(프로덕트 매니저)가 바라보는 주말 카톡

앵그리비버 2022. 5. 9. 00:08
반응형

요즘 인터넷에서 주말 카톡 금지 법안에 대해 고민하는 글을 종종 보곤 합니다.

주말 카톡 금지 법안을 보면서 제 스스로도 다양한 생각과 감정이 교차합니다. 복잡한 문제인 것 같아요.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카톡"이라고 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어떻게 바라 보면 좋을지 생각해보았습니다.

이 글은 IT 서비스의 프로덕트 매니저 관점에서 씌여진 글이고 다른 관점에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남깁니다.

 

1. 카카오톡을 어떻게 바라볼까요?

- 비동기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중의 1개

 

먼저 "카카오톡"을 어떻게 정의하면 좋을까요?

"카카오톡"은 메신저이고 메신저는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수단 중의 하나입니다.

비동기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일까요?

동기와 비동기의 개념과 차이에 대해서 정리해주신 글이 있어서 공유합니다.

https://private.tistory.com/24

 

동기와 비동기의 개념과 차이

데이터를 받는 방식인 동기와 비동기. 이 둘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는 게시물은 매우 많은데 프로그래밍적으로 생각했을 때 이해가 가지 않아서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는 동기와 비동기의 예가

private.tistory.com

먼저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에 대해서 이해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비동기 방식과 동기 방식의 가장 큰 차이 중의 하나는 "지금 당장 응답을 기대하는가?" 에 있습니다.

동기 방식의 대표적인 예는 "전화"인데요. 전화는 응답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한 수단입니다.

그래서 실시간 연결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비동기 방식은 어떨까요? 실시간으로 응답을 기대하지 않습니다.

 

"사실 실시간으로 응답을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가 올바를 것 같습니다.

왜냐면 응답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굉장히 많기 때문입니다.

보내는 쪽(발행)에서는 자유롭게 보내고 받는 쪽(구독)에서는 자유롭게 받고 처리함으로써 서로의 연관성을 없애고 커뮤니케이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마존의 메시지 대기열 기본 사항 정보입니다.

https://aws.amazon.com/ko/message-queue/

<메시지 대기열 기본 사항>

 

이벤트 메시지를 발행하는 사람들은 자유롭게 이벤트를 발행하여 대기열에 쌓습니다.
이벤트 메시지를 구독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자유롭게 이벤트를 구독하고 처리합니다.

 

이러한 비동기 처리를 통해서 보내는쪽에서는 구독자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마음껏 이벤트를 발행하면 됩니다. 크... 사실 이러한 자유로움은 우리에게 엄청난 생산성을 가져다 줍니다.

오늘을 할 일을 메모(큐에 쌓고)하고 처리하는 것... 이러한 것만으로도 우리는 할 일이라고 하는 이벤트를 메모장에 발행해두고 그것(할 일)을 처리할 수 있을 때 처리합니다.

 

'Pub/sub 메시징이란 무엇입니까?'도 참조할께요.

https://aws.amazon.com/ko/pub-sub-messaging/

 

What is Pub/Sub Messaging?

The subscribers to the message topic often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nd can each do something different with the message in parallel. The publisher doesn’t need to know who is using the information that it is broadcasting, and the subscribers don’t

aws.amazon.com

<Pub/sub 메시징이란 무엇입니까?>

 

우리 사회에서는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무언가를 합니다. 이벤트를 발행하는 사람도 많아졌고 구독하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

어쩌면 제가 이렇게 블로그에 글을 남기는 것도 비동기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수단 중의 하나 일 것입니다.

구독하시는 분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제가 자유롭게 저의 글을 발행할 수 있으니까요. 저는 이러한 자유로움 덕분에 새벽에도 글을 올리 수 있는 거죠.

 

실시간성을 기대하려면 메신저를 사용하기 보다는 다른 커뮤니케이션 방법(전화 or 대면 미팅)을 사용해야 합니다.

 

 

 

 

2. 보내는 쪽을 막는 주말 카톡 금지 법안

- 보내는 쪽과 받는 쪽 모두에게 자유로움을 제안합니다.

 

보내는 쪽을 막는 것이 진짜 좋은 방향일까? 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아쉽게도 이 문제를 단순히 프로덕트 매니저의 관점으로만 볼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조심스럽습니다.

하지만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모두 자유롭다는 것을 많이 알리고 싶습니다.

보내는쪽에서도 불필요한 내용을 발행하는 것은 자제해야 할 것입니다. "실시간 응답"을 떠나서 안 좋은 메시지는 항상 낭비니까요.

받는쪽에서는 자유로운 구독과 반응을 쟁취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메신저(이벤트 시스템)는 원래 읽고 싶을 때 읽고 보내고 싶을 때 보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보내는 쪽에서 실시간 응답을 기대한다면 "전화"라는 수단을 알려드립니다. "카카오톡"이라는 메신저를 선택했다면 받는 쪽에서 응답하지 않더라도 침착함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가 비동기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사용하는 올바른 사용 방법입니다.

 

  공간 시간 방식
대면 미팅 제약 있음  ("여기"라는 같은 장소) 제약 있음 ("지금"이라는 실시간성) 동기 방식
전화 제약 없음 제약 있음 ("지금"이라는 실시간성) 동기 방식
메신저 제약 없음 제약 없음 비동기 방식
이메일 제약 없음 제약 없음 비동기 방식

 

업무 시간 이외에 카카오톡을 보낸다면 "실시간 응답"을 기대하지 않아야 합니다.

"실시간 응답"을 기대하지 않는다면 언제나(업무 시간 이외에도) 카카오톡을 보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